1천만원 예금 넣으면 실질이자는 연 18만원
(서울=연합뉴스) 조재영 기자 = 올 들어 은행들이 고금리 예금상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지만 실질금리는 여전히 1%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.
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이자소득세율을 뺀 것으로, 명목금리가 높아지더라도 물가상승률과 세율이 함께 높아진다면 실질금리는 제자리수준에 머물게 된다.
17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5월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 가중평균 금리(신규 취급액 기준)는 연 4.86%로 2001년 9월 연 4.9% 이후 5년8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.
그러나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(세율 15.4%) 0.75%(4.86×0.154)와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(전년 동월 대비) 2.3%를 뺄 경우 실질이자는 연 1.81%로 2%에도 채 미치지 못했다.
예컨대 지난 5월 1천만원을 은행의 예금에 넣어뒀다면 실질적으로 받는 이자는 연간 18만1천원에 불과하다는 얘기다.
실질금리는 2003∼2005년 예금 평균금리가 3~4%대이고,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∼4.8%에 이르렀을 때는 마이너스(-)나 혹은 0%대에 머물렀다.
2006년 들어서는 예금 평균금리가 4%대를 유지하고,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.5%를 밑돌면서 실질금리도 1%대로 올라섰다.
특히 올해 1월에는 예금 평균금리가 4.69%까지 올라간 반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.7%에 그쳐 실질금리는 2.27%를 기록하기도 했다. 이는 2000년 12월 2.95%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.
그러나 2∼3월 1.85%, 4월 1.59%로 다시 1%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.
최근 시중은행과 저축은행들이 고금리를 내세우며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는 특판 정기예금의 경우 명목금리가 5∼6%대로, 이자소득세 0.77∼0.92%,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.5%를 빼면 실질금리는 1.73∼2.58%에 불과하다.
한 시중은행 재테크 팀장은 "예금상품의 경우 은행마다 금리가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데다 최근 펀드 수익률 등과 비교했을 때 절대 금리 수준이 너무 낮기 때문에 고객들이 굳이 찾지 않는 한 가입을 권하지 않고 있다"고 말했다.
그는 "다만 안정적인 자금 운용을 원하거나 6개월에서 1년 정도 단기간 굴릴 경우에는 펀드 대신 확정금리형 예금상품에 넣는 것이 낫다"고 덧붙였다.
(서울=연합뉴스) 조재영 기자 = 올 들어 은행들이 고금리 예금상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지만 실질금리는 여전히 1%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.
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이자소득세율을 뺀 것으로, 명목금리가 높아지더라도 물가상승률과 세율이 함께 높아진다면 실질금리는 제자리수준에 머물게 된다.
17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5월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 가중평균 금리(신규 취급액 기준)는 연 4.86%로 2001년 9월 연 4.9% 이후 5년8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.
그러나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(세율 15.4%) 0.75%(4.86×0.154)와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(전년 동월 대비) 2.3%를 뺄 경우 실질이자는 연 1.81%로 2%에도 채 미치지 못했다.
예컨대 지난 5월 1천만원을 은행의 예금에 넣어뒀다면 실질적으로 받는 이자는 연간 18만1천원에 불과하다는 얘기다.
실질금리는 2003∼2005년 예금 평균금리가 3~4%대이고,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∼4.8%에 이르렀을 때는 마이너스(-)나 혹은 0%대에 머물렀다.
2006년 들어서는 예금 평균금리가 4%대를 유지하고,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.5%를 밑돌면서 실질금리도 1%대로 올라섰다.
특히 올해 1월에는 예금 평균금리가 4.69%까지 올라간 반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.7%에 그쳐 실질금리는 2.27%를 기록하기도 했다. 이는 2000년 12월 2.95%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.
그러나 2∼3월 1.85%, 4월 1.59%로 다시 1%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.
최근 시중은행과 저축은행들이 고금리를 내세우며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는 특판 정기예금의 경우 명목금리가 5∼6%대로, 이자소득세 0.77∼0.92%,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.5%를 빼면 실질금리는 1.73∼2.58%에 불과하다.
한 시중은행 재테크 팀장은 "예금상품의 경우 은행마다 금리가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데다 최근 펀드 수익률 등과 비교했을 때 절대 금리 수준이 너무 낮기 때문에 고객들이 굳이 찾지 않는 한 가입을 권하지 않고 있다"고 말했다.
그는 "다만 안정적인 자금 운용을 원하거나 6개월에서 1년 정도 단기간 굴릴 경우에는 펀드 대신 확정금리형 예금상품에 넣는 것이 낫다"고 덧붙였다.
'공개 >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500만원 꼬냑 등장 (0) | 2007.09.16 |
---|---|
삼계탕 (0) | 2007.07.25 |
우리말과 피동태의 개념 (0) | 2007.06.08 |
명박 리 의 과거 (0) | 2007.06.07 |
근무 환경 - 오스트리아 (0) | 2007.06.03 |